facing-the-ocean

Month: 2025-11

2025-11-10

@null 14:55:54
Hello friends, Last October marked the third anniversary of the [Oct. 29 Itaewon Disaster](https://en.wikipedia.org/wiki/Seoul_Halloween_crowd_crush) in which we lost 159 people. People from around the world have been paying their tributes to the victims, survivors, and families - notably by leaving handwritten sticky notes at the site of tragedy. The *Archiving 10.29 Itaewon’s Memory* online campaign is a collective data crowdsourcing project for archiving the condolence messages where volunteers can contribute by: - editing incorrect machine-recognized text, and - (if you are fluent in Korean) translating non-Korean messages into Korean. Over the last few weeks, more than 700 volunteers have edited over 25,000 messages. We still have 9,000 messages left, most of which in languages other than Korean (English, Japanese, Chinese, Indonesian, Persian, and many more). While we are using OCR, we rely on volunteers to manually verify the messages because a) OCR on handwritten notes can be very noisy and b) we hope volunteers can also reflect on this tragedy and people's solidarity by taking time to read and edit the messages. We hope to bring in more international volunteers (you!) to help preserve people's collective memory of the Itaewon Disaster. **Please consider helping by:** - Contributing annotations, using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links: - English https://campaigns.do/campaigns/1703 - Japanese https://campaigns.do/campaigns/1704 - Chinese https://campaigns.do/campaigns/1705 - Other languages https://campaigns.do/campaigns/1706 - Translating a) the online campaign page's description text and b) this message into your language (other than English); and - Spreading the message to people around you. The *Archiving 10.29 Itaewon’s Memory* online campaign is a joint project by the Itaewon Disaster Citizens' Countermeasures Committee and Parti. For questions please email me at: achim@parti.coop

Seoul Halloween crowd crush

On 29 October 2022, around 22:20, a crowd surge occurred during Halloween festivities in the Itaewon neighborhood of Seoul, South Korea, killing 159 people and wounding 196 others. The death toll includes two people who died after the crush. The victims were mostly young adults; 27 of the victims were foreign nationals. The crowd crush was the deadliest disaster in South Korea since the sinking of MV Sewol in 2014 and the largest mass casualty incident in Seoul since the Sampoong Department Store collapse in 1995. It was the deadliest crowd crush in the country's history, surpassing a 1959 incident at the Busan Municipal Stadium in which 67 people were crushed to death. A special police team conducted an investigation of the disaster within a few days, and concluded on 13 January 2023 that the police and government's failure to adequately prepare for the crowds, despite a number of warnings, was the cause of the incident. Following the disaster and throughout the investigation, the government and police faced widespread criticism and protest. President Yoon Suk Yeol and his administration faced a number of protests that demanded his resignation, although he did not resign. Initially, the president accepted some responsibility for the event but later retracted the statement and deflected responsibility.

내 손 안의 광장, 빠띠

[English] 이태원 기억담기: 기억과 애도의 힘을 모아요! - 1029이태원참사피해자권리위원회의 캠페인 | 빠띠

*Having trouble creating an account? *한국어 설명은 아래쪽에 있습니다. Here, you can transcribe messages written in English for the Archiving 10.29 Itaewon’s Memory Project. Anyone who can read and type English is welcome to participate. The original campaign (for Korean messages) can be found here! *Due to machine reading errors, you may encounter messages that are not in English. If you can transcribe them, please do so; if not, use the “Skip image” button to move on. Join us in compiling a text dataset of the messages left by people for victims and survivors of the Itaewon Tragedy. What is the Archiving 10.29 Itaewon’s Memory Project? After the Itaewon tragedy that occurred on October 29, 2022, people left tens of thousands of messages at the tragedy site and memorial spaces. These were records mourning the victims, supporting the survivors, and asking what it means to live together. Unfortunately, messages written on sticky notes are subject to damage and fading over time. In response, volunteer activists have been conducting the Archiving 10.29 Itaewon’s Memory Project for the past three years, collecting and preserving these messages. Now, we are starting the Archiving 10.29 Itaewon’s Memory online campaign to move the memories organized in boxes of sticky notes into the digital space where it will be shared with more people. In this campaign, volunteers will convert approximately 30,000 scanned photos of memorial messages from images to text. The handwritten messages need to be typed in by people so that they can be utilized in digital contexts. How do I participate? Click the [Participate] button.Transcribe the message written in the provided photo into the text input box below.Finally, click the [Participate] button at the bottom to submit. Guidelines The text input box contains a machine-read attempt at transcribing the message.:memo: Please correct the text to match the photo. If you can translate the message into Korean, use brackets to denote translations. E.g. Rest in Peace [번역:고이 잠드소서]Use words inside brackets to describe drawings and other imagery. E.g. :cry:, :heart: → [image: crying face], [image: heart]Do not correct typos; transcribe exactly as it appears in the photo.Exclude printed letterings that are part of the paper’s design and not part of the condolence message.If you encounter unfamiliar languages or illegible characters, please use the “Skip image” button to move on.(Skipping, rather than typing in an inaccurate version, makes it easier to compile results)  :exclamation: Clicking outside the input modal or closing it will load a new memorial message without saving your work. :alarm_clock: To avoid being overwhelmed by emotionally loaded messages, take frequent breaks and do not participate for too long at once. :handshake: Let’s work together to compile these memories. Please share the campaign so that more people can contribute. Join us and share the memories of Itaewon. Assuming it takes one minute to digitalize each of the 30,000 messages, the whole campaign requires approximately 30,000 minutes, or a total of 500 hours. This is the equivalent of an activist working full-time for three months, typing nonstop. However, we can share this commitment. One person’s hour becomes thirty minutes for two people, fifteen minutes for four people, and so on. The more people who participate, the sooner the data collection will be completed, and the time for solidarity will be extended. The messages will be compiled into a tabular format and made accessible to everyone. The sentiments contained in the table can then be read, internalized, and expressed through various words and forms by other people. We hope many people will participate in the documentation process and confirm that our memories are interconnected. Memories will be shared with those who have felt pain, who were far away, or who have been too overwhelmed by their livelihoods to express their sorrow for the tragedy. The data created as a result of this campaign will be made available to use in various ways, including academic research, education, and artistic expression; it will serve as a public record that expands the social significance of remembering and mourning the tragedy and its victims.이 페이지는 "이태원 기억담기" 캠페인 중 영어로 된 메시지를 옮겨 적는 곳입니다. 영문 읽기/입력/번역이 가능한 분들이 참여해주시면 됩니다. 원 캠페인은 이곳에 있어요! *기계 판독 오류로 영어가 아닌 메시지가 섞여 있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입력이 가능하면 입력해주시고, 어려우면 ‘다른 사진 보기’ 버튼을 눌러 넘겨주세요. 시민들이 남긴 10.29이태원참사 추모메시지를 함께 텍스트 자료로 만들어주세요! “이태원 기억담기”란? 2022년 10월 29일 발생한 이태원 참사 이후, 시민들은 현장과 추모 공간에 수 만 건의 메시지를 남겼습니다. 희생자를 애도하고, 생존자를 응원하며, 우리가 함께 살아가야 할 이유를 묻는 기록들이었습니다. 그러나 포스트잇 용지에 적힌 메시지는 시간이 지나면서 훼손되고 사라질 위험이 있습니다. 이에 자원활동가들은 지난 3년간 메시지를 수거하고 보존하는 아카이빙 작업, “이태원 기억담기”를 진행해 왔습니다. 문서상자 속에 가지런히 담긴 포스트잇의 기억을, 이제는 디지털 공간으로 옮겨 더 많은 사람들과 공유하고자 “이태원 기억담기 캠페인”을 시작합니다. 이번 캠페인에서는 자원활동가들이 스캔한 약 3만 장의 추모 메시지 사진을 이미지에서 텍스트로 변환합니다. 사람이 손글씨로 쓴 메시지를, 디지털 환경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다시 사람이 입력하는 작업이 필요합니다. 무엇을 하면 되나요? [참여하기] 버튼을 눌러 참여할 수 있습니다.제시된 사진에 적힌 글을 아래 텍스트 입력창에 옮겨적습니다. 맨 아래 [00번째로 참여하기] 버튼을 눌러 제출합니다. 작업 가이드 텍스트 입력창에는 기계로 인식한 초벌 텍스트가 담겨 있습니다.:memo: 초벌 텍스트를 사진과 일치하게 수정해 주세요. 한국어로 번역 가능할 경우, 대괄호 안에 번역문을 기입합니다. 예) Rest in Peace [번역:고이 잠드소서]그림은 대괄호 안에 글자로 묘사합니다. 예) :cry:, :heart: → [그림:우는 얼굴], [그림:하트]오자/띄어쓰기는 고치지 말고, 사진에 있는 그대로 옮겨 적습니다. 추모 메시지의 일부가 아닌, 종이에 인쇄된 디자인 문구 등은 제외합니다.친숙하지 않은 외국어, 알아보기 어려운 글자는 사진 위에 있는 ‘다른 사진 보기’ 버튼을 눌러 넘겨주세요.(부정확하게 입력하는 것보다 입력하지 않고 넘기는 것이 최종 결과물 정리에 유리합니다!) :exclamation: 입력창을 닫거나 입력창 밖을 클릭하면 작업한 내용이 저장되지 않은 채 새로운 추모메시지를 불러오니 주의하세요. :alarm_clock: 무거운 메시지에 몰입해 마음이 힘들어지지 않도록, 한 번에 너무 오래 참여하지 말고 쉬는 시간을 가져요. :handshake: 기억을 잘 모으기 위해 힘을 나누어요. 더 많은 사람이 함께 기여할 수 있도록 주변에 캠페인을 전파해주세요. 여러분의 기여를 통해 이태원의 기억을 나누어 주세요. 메시지 3만 건을 데이터화하려면 1건당 1분이 걸린다고 가정할 때 약 3만 분, 총 500시간이 소요됩니다. 활동가 한 명이 석 달 동안 타자만 치며 풀타임 근무를 해야 하는 시간입니다. 그러나 이 시간은 나눌 수 있습니다. 한 사람이 1시간을 맡을 때, 두 사람은 30분씩, 네 사람은 15분씩 시간을 나누며, 함께하는 시민이 많아질 수록 자료 정리는 일찍 마무리되고 연대의 시간은 확장됩니다. 메시지의 글들은 표 형태로 정리해, 누구나 접근할 수 있게끔 제공할 예정입니다. 표에 담긴 마음들은 누군가 읽고 새기고 정리해서 그의 말과 글과 다양한 표현에 담길 것입니다. 더 많은 사람들이 기억을 기록으로 남기면서 서로의 기억이 이어져 있음을 확인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아직 마음이 아파서, 거리가 멀어서, 생업이 바빠서 수 많은 장벽으로 그 날의 기억을 마음속으로만 안타까워했던 사람들과도 기억을 나누고자 합니다. 캠페인의 결과로 만들어질 자료는 학술 연구, 교육, 예술적 표현 등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참사와 희생자들에 대한 기억과 애도의 사회적 의미를 확장하는 공공 기록으로 자리매김할 것입니다. 10.29 이태원 참사 시민대책회의 X 빠띠

내 손 안의 광장, 빠띠

[日本語] 이태원 기억담기: 기억과 애도의 힘을 모아요! - 1029이태원참사피해자권리위원회의 캠페인 | 빠띠

*Having trouble creating an account? *한국어 설명은 아래쪽에 있습니다. Here, you can transcribe messages written in Japanese for the Archiving 10.29 Itaewon’s Memory Project. Anyone who can read and type Japanese is welcome to participate. The original campaign (for Korean messages) can be found here! *Due to machine reading errors, you may encounter messages that are not in Japanese. If you can transcribe them, please do so; if not, use the “Skip image” button to move on. Join us in compiling a text dataset of the messages left by people for victims and survivors of the Itaewon Tragedy. What is the Archiving 10.29 Itaewon’s Memory Project? After the Itaewon tragedy that occurred on October 29, 2022, people left tens of thousands of messages at the tragedy site and memorial spaces. These were records mourning the victims, supporting the survivors, and asking what it means to live together. Unfortunately, messages written on sticky notes are subject to damage and fading over time. In response, volunteer activists have been conducting the Archiving 10.29 Itaewon’s Memory Project for the past three years, collecting and preserving these messages. Now, we are starting the Archiving 10.29 Itaewon’s Memory online campaign to move the memories organized in boxes of sticky notes into the digital space where it will be shared with more people. In this campaign, volunteers will convert approximately 30,000 scanned photos of memorial messages from images to text. The handwritten messages need to be typed in by people so that they can be utilized in digital contexts. How do I participate? Click the [Participate] button.Transcribe the message written in the provided photo into the text input box below.Finally, click the [Participate] button at the bottom to submit. Guidelines The text input box contains a machine-read attempt at transcribing the message.:memo: Please correct the text to match the photo. If you can translate the message into Korean, use brackets to denote translations. E.g. 安らかに眠る [번역:고이 잠드소서]Use words inside brackets to describe drawings and other imagery. E.g. :cry:, :heart: → [image: crying face], [image: heart]Do not correct typos; transcribe exactly as it appears in the photo.Exclude printed letterings that are part of the paper’s design and not part of the condolence message.If you encounter unfamiliar languages or illegible characters, please use the “Skip image” button to move on.(Skipping, rather than typing in an inaccurate version, makes it easier to compile results)  :exclamation: Clicking outside the input modal or closing it will load a new memorial message without saving your work. :alarm_clock: To avoid being overwhelmed by emotionally loaded messages, take frequent breaks and do not participate for too long at once. :handshake: Let’s work together to compile these memories. Please share the campaign so that more people can contribute. Join us and share the memories of Itaewon. Assuming it takes one minute to digitalize each of the 30,000 messages, the whole campaign requires approximately 30,000 minutes, or a total of 500 hours. This is the equivalent of an activist working full-time for three months, typing nonstop. However, we can share this commitment. One person’s hour becomes thirty minutes for two people, fifteen minutes for four people, and so on. The more people who participate, the sooner the data collection will be completed, and the time for solidarity will be extended. The messages will be compiled into a tabular format and made accessible to everyone. The sentiments contained in the table can then be read, internalized, and expressed through various words and forms by other people. We hope many people will participate in the documentation process and confirm that our memories are interconnected. Memories will be shared with those who have felt pain, who were far away, or who have been too overwhelmed by their livelihoods to express their sorrow for the tragedy. The data created as a result of this campaign will be made available to use in various ways, including academic research, education, and artistic expression; it will serve as a public record that expands the social significance of remembering and mourning the tragedy and its victims.이 페이지는 "이태원 기억담기" 캠페인 중 일본어로 된 메시지를 옮겨 적는 곳입니다. 일본어 읽기/입력/번역이 가능한 분들이 참여해주시면 됩니다. 원 캠페인은 이곳에 있어요! *기계 판독 오류로 일본어가 아닌 메시지가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습니다. 이 경우 입력이 가능하면 입력해주시고, 어려우면 ‘다른 사진 보기’ 버튼을 눌러 넘겨주세요. 시민들이 남긴 10.29이태원참사 추모메시지를 함께 텍스트 자료로 만들어주세요! “이태원 기억담기”란? 2022년 10월 29일 발생한 이태원 참사 이후, 시민들은 현장과 추모 공간에 수 만 건의 메시지를 남겼습니다. 희생자를 애도하고, 생존자를 응원하며, 우리가 함께 살아가야 할 이유를 묻는 기록들이었습니다. 그러나 포스트잇 용지에 적힌 메시지는 시간이 지나면서 훼손되고 사라질 위험이 있습니다. 이에 자원활동가들은 지난 3년간 메시지를 수거하고 보존하는 아카이빙 작업, “이태원 기억담기”를 진행해 왔습니다. 문서상자 속에 가지런히 담긴 포스트잇의 기억을, 이제는 디지털 공간으로 옮겨 더 많은 사람들과 공유하고자 “이태원 기억담기 캠페인”을 시작합니다. 이번 캠페인에서는 자원활동가들이 스캔한 약 3만 장의 추모 메시지 사진을 이미지에서 텍스트로 변환합니다. 사람이 손글씨로 쓴 메시지를, 디지털 환경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다시 사람이 입력하는 작업이 필요합니다. 무엇을 하면 되나요? [참여하기] 버튼을 눌러 참여할 수 있습니다.제시된 사진에 적힌 글을 아래 텍스트 입력창에 옮겨적습니다. 맨 아래 [00번째로 참여하기] 버튼을 눌러 제출합니다. 작업 가이드 텍스트 입력창에는 기계로 인식한 초벌 텍스트가 담겨 있습니다.:memo: 초벌 텍스트를 사진과 일치하게 수정해 주세요. 한국어로 번역 가능할 경우, 대괄호 안에 번역문을 기입합니다. 예) 安らかに眠る [번역:고이 잠드소서]그림은 대괄호 안에 글자로 묘사합니다. 예) :cry:, :heart: → [그림:우는 얼굴], [그림:하트]오자/띄어쓰기는 고치지 말고, 사진에 있는 그대로 옮겨 적습니다. 추모 메시지의 일부가 아닌, 종이에 인쇄된 디자인 문구 등은 제외합니다.친숙하지 않은 외국어, 알아보기 어려운 글자는 사진 위에 있는 ‘다른 사진 보기’ 버튼을 눌러 넘겨주세요.(부정확하게 입력하는 것보다 입력하지 않고 넘기는 것이 최종 결과물 정리에 유리합니다!) :exclamation: 입력창을 닫거나 입력창 밖을 클릭하면 작업한 내용이 저장되지 않은 채 새로운 추모메시지를 불러오니 주의하세요. :alarm_clock: 무거운 메시지에 몰입해 마음이 힘들어지지 않도록, 한 번에 너무 오래 참여하지 말고 쉬는 시간을 가져요. :handshake: 기억을 잘 모으기 위해 힘을 나누어요. 더 많은 사람이 함께 기여할 수 있도록 주변에 캠페인을 전파해주세요. 여러분의 기여를 통해 이태원의 기억을 나누어 주세요. 메시지 3만 건을 데이터화하려면 1건당 1분이 걸린다고 가정할 때 약 3만 분, 총 500시간이 소요됩니다. 활동가 한 명이 석 달 동안 타자만 치며 풀타임 근무를 해야 하는 시간입니다. 그러나 이 시간은 나눌 수 있습니다. 한 사람이 1시간을 맡을 때, 두 사람은 30분씩, 네 사람은 15분씩 시간을 나누며, 함께하는 시민이 많아질 수록 자료 정리는 일찍 마무리되고 연대의 시간은 확장됩니다. 메시지의 글들은 표 형태로 정리해, 누구나 접근할 수 있게끔 제공할 예정입니다. 표에 담긴 마음들은 누군가 읽고 새기고 정리해서 그의 말과 글과 다양한 표현에 담길 것입니다. 더 많은 사람들이 기억을 기록으로 남기면서 서로의 기억이 이어져 있음을 확인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아직 마음이 아파서, 거리가 멀어서, 생업이 바빠서 수 많은 장벽으로 그 날의 기억을 마음속으로만 안타까워했던 사람들과도 기억을 나누고자 합니다. 캠페인의 결과로 만들어질 자료는 학술 연구, 교육, 예술적 표현 등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참사와 희생자들에 대한 기억과 애도의 사회적 의미를 확장하는 공공 기록으로 자리매김할 것입니다. 10.29 이태원 참사 시민대책회의 X 빠띠

내 손 안의 광장, 빠띠

[中文] 이태원 기억담기: 기억과 애도의 힘을 모아요! - 1029이태원참사피해자권리위원회의 캠페인 | 빠띠

*Having trouble creating an account? *한국어 설명은 아래쪽에 있습니다.Here, you can transcribe messages written in Chinese for the Archiving 10.29 Itaewon’s Memory Project. Anyone who can read and type Chinese is welcome to participate. The original campaign (for Korean messages) can be found here! *Due to machine reading errors, you may encounter messages that are not in Chinese. If you can transcribe them, please do so; if not, use the “Skip image” button to move on. Join us in compiling a text dataset of the messages left by people for victims and survivors of the Itaewon Tragedy. What is the Archiving 10.29 Itaewon’s Memory Project? After the Itaewon tragedy that occurred on October 29, 2022, people left tens of thousands of messages at the tragedy site and memorial spaces. These were records mourning the victims, supporting the survivors, and asking what it means to live together. Unfortunately, messages written on sticky notes are subject to damage and fading over time. In response, volunteer activists have been conducting the Archiving 10.29 Itaewon’s Memory Project for the past three years, collecting and preserving these messages. Now, we are starting the Archiving 10.29 Itaewon’s Memory online campaign to move the memories organized in boxes of sticky notes into the digital space where it will be shared with more people. In this campaign, volunteers will convert approximately 30,000 scanned photos of memorial messages from images to text. The handwritten messages need to be typed in by people so that they can be utilized in digital contexts. How do I participate? Click the [Participate] button.Transcribe the message written in the provided photo into the text input box below.Finally, click the [Participate] button at the bottom to submit. Guidelines The text input box contains a machine-read attempt at transcribing the message.:memo: Please correct the text to match the photo. If you can translate the message into Korean, use brackets to denote translations. E.g. 安息 [번역:고이 잠드소서]Use words inside brackets to describe drawings and other imagery. E.g. :cry:, :heart: → [image: crying face], [image: heart]Do not correct typos; transcribe exactly as it appears in the photo.Exclude printed letterings that are part of the paper’s design and not part of the condolence message.If you encounter unfamiliar languages or illegible characters, please use the “Skip image” button to move on.(Skipping, rather than typing in an inaccurate version, makes it easier to compile results)  :exclamation: Clicking outside the input modal or closing it will load a new memorial message without saving your work. :alarm_clock: To avoid being overwhelmed by emotionally loaded messages, take frequent breaks and do not participate for too long at once. :handshake: Let’s work together to compile these memories. Please share the campaign so that more people can contribute. Join us and share the memories of Itaewon. Assuming it takes one minute to digitalize each of the 30,000 messages, the whole campaign requires approximately 30,000 minutes, or a total of 500 hours. This is the equivalent of an activist working full-time for three months, typing nonstop. However, we can share this commitment. One person’s hour becomes thirty minutes for two people, fifteen minutes for four people, and so on. The more people who participate, the sooner the data collection will be completed, and the time for solidarity will be extended. The messages will be compiled into a tabular format and made accessible to everyone. The sentiments contained in the table can then be read, internalized, and expressed through various words and forms by other people. We hope many people will participate in the documentation process and confirm that our memories are interconnected. Memories will be shared with those who have felt pain, who were far away, or who have been too overwhelmed by their livelihoods to express their sorrow for the tragedy. The data created as a result of this campaign will be made available to use in various ways, including academic research, education, and artistic expression; it will serve as a public record that expands the social significance of remembering and mourning the tragedy and its victims.이 페이지는 "이태원 기억담기" 캠페인 중 중국어로 된 메시지를 옮겨 적는 곳입니다. 중국어 읽기와 입력이 가능한 분들이 참여해주시면 됩니다. 원 캠페인은 이곳에 있어요! *기계 판독 오류로 중국어가 아닌 메시지가 섞여 있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입력이 가능하면 입력해주시고, 어려우면 ‘다른 사진 보기’ 버튼을 눌러 넘겨주세요. 시민들이 남긴 10.29이태원참사 추모메시지를 함께 텍스트 자료로 만들어주세요! “이태원 기억담기”란? 2022년 10월 29일 발생한 이태원 참사 이후, 시민들은 현장과 추모 공간에 수 만 건의 메시지를 남겼습니다. 희생자를 애도하고, 생존자를 응원하며, 우리가 함께 살아가야 할 이유를 묻는 기록들이었습니다. 그러나 포스트잇 용지에 적힌 메시지는 시간이 지나면서 훼손되고 사라질 위험이 있습니다. 이에 자원활동가들은 지난 3년간 메시지를 수거하고 보존하는 아카이빙 작업, “이태원 기억담기”를 진행해 왔습니다. 문서상자 속에 가지런히 담긴 포스트잇의 기억을, 이제는 디지털 공간으로 옮겨 더 많은 사람들과 공유하고자 “이태원 기억담기 캠페인”을 시작합니다. 이번 캠페인에서는 자원활동가들이 스캔한 약 3만 장의 추모 메시지 사진을 이미지에서 텍스트로 변환합니다. 사람이 손글씨로 쓴 메시지를, 디지털 환경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다시 사람이 입력하는 작업이 필요합니다. 무엇을 하면 되나요? [참여하기] 버튼을 눌러 참여할 수 있습니다.제시된 사진에 적힌 글을 아래 텍스트 입력창에 옮겨적습니다. 맨 아래 [00번째로 참여하기] 버튼을 눌러 제출합니다. 작업 가이드 텍스트 입력창에는 기계로 인식한 초벌 텍스트가 담겨 있습니다.:memo: 초벌 텍스트를 사진과 일치하게 수정해 주세요. 한국어로 번역 가능할 경우, 대괄호 안에 번역문을 기입합니다. 예) 安息 [번역:고이 잠드소서]그림은 대괄호 안에 글자로 묘사합니다. 예) :cry:, :heart: → [그림:우는 얼굴], [그림:하트]오자/띄어쓰기는 고치지 말고, 사진에 있는 그대로 옮겨 적습니다. 추모 메시지의 일부가 아닌, 종이에 인쇄된 디자인 문구 등은 제외합니다.친숙하지 않은 외국어, 알아보기 어려운 글자는 사진 위에 있는 ‘다른 사진 보기’ 버튼을 눌러 넘겨주세요.(부정확하게 입력하는 것보다 입력하지 않고 넘기는 것이 최종 결과물 정리에 유리합니다!) :exclamation: 입력창을 닫거나 입력창 밖을 클릭하면 작업한 내용이 저장되지 않은 채 새로운 추모메시지를 불러오니 주의하세요. :alarm_clock: 무거운 메시지에 몰입해 마음이 힘들어지지 않도록, 한 번에 너무 오래 참여하지 말고 쉬는 시간을 가져요. :handshake: 기억을 잘 모으기 위해 힘을 나누어요. 더 많은 사람이 함께 기여할 수 있도록 주변에 캠페인을 전파해주세요. 여러분의 기여를 통해 이태원의 기억을 나누어 주세요. 메시지 3만 건을 데이터화하려면 1건당 1분이 걸린다고 가정할 때 약 3만 분, 총 500시간이 소요됩니다. 활동가 한 명이 석 달 동안 타자만 치며 풀타임 근무를 해야 하는 시간입니다. 그러나 이 시간은 나눌 수 있습니다. 한 사람이 1시간을 맡을 때, 두 사람은 30분씩, 네 사람은 15분씩 시간을 나누며, 함께하는 시민이 많아질 수록 자료 정리는 일찍 마무리되고 연대의 시간은 확장됩니다. 메시지의 글들은 표 형태로 정리해, 누구나 접근할 수 있게끔 제공할 예정입니다. 표에 담긴 마음들은 누군가 읽고 새기고 정리해서 그의 말과 글과 다양한 표현에 담길 것입니다. 더 많은 사람들이 기억을 기록으로 남기면서 서로의 기억이 이어져 있음을 확인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아직 마음이 아파서, 거리가 멀어서, 생업이 바빠서 수 많은 장벽으로 그 날의 기억을 마음속으로만 안타까워했던 사람들과도 기억을 나누고자 합니다. 캠페인의 결과로 만들어질 자료는 학술 연구, 교육, 예술적 표현 등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참사와 희생자들에 대한 기억과 애도의 사회적 의미를 확장하는 공공 기록으로 자리매김할 것입니다. 10.29 이태원 참사 시민대책회의 X 빠띠

내 손 안의 광장, 빠띠

[기타 외국어] 이태원 기억담기: 기억과 애도의 힘을 모아요! - 1029이태원참사피해자권리위원회의 캠페인 | 빠띠

*Having trouble creating an account? *한국어 설명은 아래쪽에 있습니다.Here, you can transcribe messages written in languages other than Korean, English, Japanese, and Chinese for the Archiving 10.29 Itaewon’s Memory Project. Anyone who can read and type in the messages' languages is welcome to participate. The original campaign (for Korean messages) can be found here! *Due to machine reading errors, you may encounter messages that are in fact in Korean, English, Japanese, or Chinese. If you can transcribe them, please do so; if not, use the “Skip image” button to move on. Join us in compiling a text dataset of the messages left by people for victims and survivors of the Itaewon Tragedy. What is the Archiving 10.29 Itaewon’s Memory Project? After the Itaewon tragedy that occurred on October 29, 2022, people left tens of thousands of messages at the tragedy site and memorial spaces. These were records mourning the victims, supporting the survivors, and asking what it means to live together. Unfortunately, messages written on sticky notes are subject to damage and fading over time. In response, volunteer activists have been conducting the Archiving 10.29 Itaewon’s Memory Project for the past three years, collecting and preserving these messages. Now, we are starting the Archiving 10.29 Itaewon’s Memory online campaign to move the memories organized in boxes of sticky notes into the digital space where it will be shared with more people. In this campaign, volunteers will convert approximately 30,000 scanned photos of memorial messages from images to text. The handwritten messages need to be typed in by people so that they can be utilized in digital contexts. How do I participate? Click the [Participate] button.Transcribe the message written in the provided photo into the text input box below.Finally, click the [Participate] button at the bottom to submit. Guidelines The text input box contains a machine-read attempt at transcribing the message.:memo: Please correct the text to match the photo. If you can translate the message into Korean, use brackets to denote translations. E.g. R.I.P. [번역:고이 잠드소서]Use words inside brackets to describe drawings and other imagery. E.g. :cry:, :heart: → [image: crying face], [image: heart]Do not correct typos; transcribe exactly as it appears in the photo.Exclude printed letterings that are part of the paper’s design and not part of the condolence message.If you encounter unfamiliar languages or illegible characters, please use the “Skip image” button to move on.(Skipping, rather than typing in an inaccurate version, makes it easier to compile results)  :exclamation: Clicking outside the input modal or closing it will load a new memorial message without saving your work. :alarm_clock: To avoid being overwhelmed by emotionally loaded messages, take frequent breaks and do not participate for too long at once. :handshake: Let’s work together to compile these memories. Please share the campaign so that more people can contribute. Join us and share the memories of Itaewon. Assuming it takes one minute to digitalize each of the 30,000 messages, the whole campaign requires approximately 30,000 minutes, or a total of 500 hours. This is the equivalent of an activist working full-time for three months, typing nonstop. However, we can share this commitment. One person’s hour becomes thirty minutes for two people, fifteen minutes for four people, and so on. The more people who participate, the sooner the data collection will be completed, and the time for solidarity will be extended. The messages will be compiled into a tabular format and made accessible to everyone. The sentiments contained in the table can then be read, internalized, and expressed through various words and forms by other people. We hope many people will participate in the documentation process and confirm that our memories are interconnected. Memories will be shared with those who have felt pain, who were far away, or who have been too overwhelmed by their livelihoods to express their sorrow for the tragedy. The data created as a result of this campaign will be made available to use in various ways, including academic research, education, and artistic expression; it will serve as a public record that expands the social significance of remembering and mourning the tragedy and its victims. 이 페이지는 "이태원 기억담기" 캠페인 중 영어, 일본어, 중국어 외의 기타 외국어로 된 메시지를 옮겨 적는 곳입니다. 해당 언어 읽기와 입력이 가능한 분들이 참여해주시면 됩니다. 원 캠페인은 이곳에 있어요! *기계 판독 오류로 한국어, 영어, 일본어, 중국어 등으로 된 메시지도 섞여 있습니다. 이 경우 입력이 가능하면 입력해주시고, 어려우면 ‘다른 사진 보기’ 버튼을 눌러 넘겨주세요. 시민들이 남긴 10.29이태원참사 추모메시지를 함께 텍스트 자료로 만들어주세요! “이태원 기억담기”란? 2022년 10월 29일 발생한 이태원 참사 이후, 시민들은 현장과 추모 공간에 수 만 건의 메시지를 남겼습니다. 희생자를 애도하고, 생존자를 응원하며, 우리가 함께 살아가야 할 이유를 묻는 기록들이었습니다. 그러나 포스트잇 용지에 적힌 메시지는 시간이 지나면서 훼손되고 사라질 위험이 있습니다. 이에 자원활동가들은 지난 3년간 메시지를 수거하고 보존하는 아카이빙 작업, “이태원 기억담기”를 진행해 왔습니다. 문서상자 속에 가지런히 담긴 포스트잇의 기억을, 이제는 디지털 공간으로 옮겨 더 많은 사람들과 공유하고자 “이태원 기억담기 캠페인”을 시작합니다. 이번 캠페인에서는 자원활동가들이 스캔한 약 3만 장의 추모 메시지 사진을 이미지에서 텍스트로 변환합니다. 사람이 손글씨로 쓴 메시지를, 디지털 환경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다시 사람이 입력하는 작업이 필요합니다. 무엇을 하면 되나요? [참여하기] 버튼을 눌러 참여할 수 있습니다.제시된 사진에 적힌 글을 아래 텍스트 입력창에 옮겨적습니다. 맨 아래 [00번째로 참여하기] 버튼을 눌러 제출합니다. 작업 가이드 텍스트 입력창에는 기계로 인식한 초벌 텍스트가 담겨 있습니다.:memo: 초벌 텍스트를 사진과 일치하게 수정해 주세요. 한국어로 번역 가능할 경우, 대괄호 안에 번역문을 기입합니다. 예) R.I.P. [번역:고이 잠드소서]그림은 대괄호 안에 글자로 묘사합니다. 예) :cry:, :heart: → [그림:우는 얼굴], [그림:하트]오자/띄어쓰기는 고치지 말고, 사진에 있는 그대로 옮겨 적습니다. 추모 메시지의 일부가 아닌, 종이에 인쇄된 디자인 문구 등은 제외합니다.친숙하지 않은 외국어, 알아보기 어려운 글자는 사진 위에 있는 ‘다른 사진 보기’ 버튼을 눌러 넘겨주세요.(부정확하게 입력하는 것보다 입력하지 않고 넘기는 것이 최종 결과물 정리에 유리합니다!) :exclamation: 입력창을 닫거나 입력창 밖을 클릭하면 작업한 내용이 저장되지 않은 채 새로운 추모메시지를 불러오니 주의하세요. :alarm_clock: 무거운 메시지에 몰입해 마음이 힘들어지지 않도록, 한 번에 너무 오래 참여하지 말고 쉬는 시간을 가져요. :handshake: 기억을 잘 모으기 위해 힘을 나누어요. 더 많은 사람이 함께 기여할 수 있도록 주변에 캠페인을 전파해주세요. 여러분의 기여를 통해 이태원의 기억을 나누어 주세요. 메시지 3만 건을 데이터화하려면 1건당 1분이 걸린다고 가정할 때 약 3만 분, 총 500시간이 소요됩니다. 활동가 한 명이 석 달 동안 타자만 치며 풀타임 근무를 해야 하는 시간입니다. 그러나 이 시간은 나눌 수 있습니다. 한 사람이 1시간을 맡을 때, 두 사람은 30분씩, 네 사람은 15분씩 시간을 나누며, 함께하는 시민이 많아질 수록 자료 정리는 일찍 마무리되고 연대의 시간은 확장됩니다. 메시지의 글들은 표 형태로 정리해, 누구나 접근할 수 있게끔 제공할 예정입니다. 표에 담긴 마음들은 누군가 읽고 새기고 정리해서 그의 말과 글과 다양한 표현에 담길 것입니다. 더 많은 사람들이 기억을 기록으로 남기면서 서로의 기억이 이어져 있음을 확인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아직 마음이 아파서, 거리가 멀어서, 생업이 바빠서 수 많은 장벽으로 그 날의 기억을 마음속으로만 안타까워했던 사람들과도 기억을 나누고자 합니다. 캠페인의 결과로 만들어질 자료는 학술 연구, 교육, 예술적 표현 등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참사와 희생자들에 대한 기억과 애도의 사회적 의미를 확장하는 공공 기록으로 자리매김할 것입니다. 10.29 이태원 참사 시민대책회의 X 빠띠